Duration: (37:47) ?Subscribe5835 2025-02-08T15:46:35+00:00
『문학사탐색』강의현장1-1강 문학사 탐색이란?: 문학연구는 자료 열거 아닌 논리의 발견, 문학사 탐색 이론으로 동서고금의 문학 및 다른 분야 현상 설명해야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7:47)
『#문학사탐색』1-1강 문학사 탐색이란?: #한국문학ㆍ동아시아문학ㆍ#세계문학, 고전문학ㆍ현대문학 모두에서 문학 보편적원리 확인, 미래창조 지침, 누구나 동참가능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3:16)
『#문학사탐색』현장강의Ⅲ제11-1강 영웅이야기 비교고찰: 아프리카ㆍ중국ㆍ유럽의 ‘영웅의 일생’, 역사와 인간사 이해 관점, 신인합일과 불합의 지역적 분포와 종교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4:6)
『#문학사탐색』2-1강 #삼국유사: #삼국사기 와 비교, 차등론과 대등론, 삼국유사는 정치사ㆍ종교사ㆍ문학사, 문학사로 종교사 뒤집어, 자기 관점으로 읽기 가능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5:30)
『#문학사탐색』1-3강 정치사ㆍ종교사ㆍ#문학사: 정치권력 강성대국 지향, 패권주의 속성은 강약차등론에 근거, 종교사는 현우의 차등론, 문학이 정치ㆍ종교 폐해 시정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3:28)
『#문학사탐색』Ⅱ6-1강 내면의 수난, 사로잡힌 심정 : #시인 불행, 생계와 연결되지 않는 시, #백거이ㆍ이달ㆍ#보들래르, 권력ㆍ신분ㆍ금력의 억압 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7:17)
한국 단편소설 오디오북 | 탁자의 위치 | 이광숙 | 현대문학상 1965 | 오디오드라마
(1:28:56)
강신주'철학vs철학'편 1부,TV책방 북소리
(34:14)
\
(44:16)
[시쓰기,시쓰는법,시창작법,시창작강의]7강 1장[시에 쓰이는 다양한 수사법! ],직유법, 은유법, 도치법, 의인법, 의성법, 의태법, 풍유법, 제유법, 환유법,중의법,영탄법,
(28:28)
EBS 인문학 특강 - 권영민 교수의 '한국 현대문학을 말하다' 1강_#001
(9:42)
[ENG] Dreaming nature, drawing a landscape dream EP.147 Korean artist Lee Jae Yual
(13:36)
EBS 인문학 특강 - 오순희 교수의 '거인의 문학, 괴테' 1강_#001
(15:20)
제 수업을 안 듣더라도 문학은 이렇게 공부해주세요.
(20:12)
[시쓰기,시쓰는법,시창작법,시창작강의]제1부 1강 1장 [시란 무엇인가] (시의 발원)
(5:45)
(요청 폭발) 시험에 꼭 나오는 고전 필수 어휘 정리, 5분만 투자하세요!
(6:14)
『#문학사탐색』Ⅱ8-1강 안에서, 시간의 흐름: 문학의 #시간론 철학보다 분명, 서정시의 #시간, 유럽 시인과 아시아 시인의 시간 차이, 시와 소설의 시간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24:46)
『#문학사탐색』4-1강 문학 갈래의 구분 〚#조동일문화대학〛 #조동일 #문학갈래 이론, 자료귀납, 이론연역, 세계최초의 갈래이론 창조, 지자불언(知者不言) 노자 계승 학문
(33:9)
『문학사탐색』1-3강 정치사ㆍ종교사ㆍ문학사: 공화국ㆍ민주주의는 정치 과오의 면죄부인가? 종교 현우차등은 정치 강약차등보다 커, 성자이야기로 문학근접, 문학의 기능〚조동일문화대학〛
(29:47)
『#문학사탐색』Ⅱ제10-1강 #신령이야기, 신령이야기의 특징: 정치학과 종교학 한계 넘어서는 신령ㆍ영웅ㆍ범인서사시의 문학연구, 비평적 감수성과 역사적 통찰력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3:45)
『#문학사탐색』Ⅱ8-1강 안에서, 시간의 흐름: 문학의 #시간론, 합리적인 시간론, 자연의 시간, 시간은 생멸, 하루살이가 성자, 조오현 『아득한 성자』 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0:13)
『#문학사탐색』현장강의 Ⅲ제11-2강 #범인이야기 확대: 영웅에서 범인으로, 범인 완결형 놀부와 발자크의 인물, 이원론적 주기론과 영웅소설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22:15)
『문학사탐색』1-2강 사관에 관한 논란: 문학사서술에도 사관 필요, 민족사관 理一ㆍ실증주의사관 分殊, 변증법 氣一分殊의 문제, 사회경제사 실패, 상생 상극 생극론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4:13)
『#문학사탐색』4-1강 문학 갈래의 구분 〚#조동일문화대학〛 #문학갈래 서양이론 한계, #갈래이론 창조, 서정 서사 희곡 교술 조동일 4갈래론, 자아와 세계, 서술자 개입
(11:11)
『문학사탐색』1-4강 철학사와 문학사: 문학과 철학 관계사, 노자ㆍ플라톤ㆍ용수, 중세 철학과 종교의 제휴, 정철 시조의 뒤집기, 철학을 대신한 문학과 종교의 대립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3:33)
『문학사탐색』1-2강 사관에 관한 논란: 민족사관ㆍ실증주의, 사회경제사 문학사 실패, 한국문학통사는 생극론 문학사, 4권부터 밝혀, 조동일 생극론 형성과정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0:12)
『문학사탐색』2-1강 삼국유사에서: 삼국사기는 정치사, 불교배제는 정치차등론, 삼국유사는 정치사ㆍ종교사ㆍ문학사, 종교 차등론 뒤집어, 문학사와 제휴 대등론으로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0:46)
『#문학사탐색』5-1강 서정시의 자기 인식〚#조동일문화대학〛시의 #시론, 철학 종교와 경쟁하는 #서정시, 신흠, 베르래느, 사파르, 횔더린, 이방인, 이상화, 시는 무기이자 기적
(8:44)
『#학문 왜 어떻게?』1-1강 초발심: 공부가 즐거워야 학문으로, 연구업적이 쓰레기통인 국정 참여교수의 폐해, #학자 현실참여는 자기 연구결과로 해야〚#조동일문화대학〛