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3:16) ?Subscribe5835 2025-02-13T00:33:03+00:00
『#문학사탐색』1-1강 문학사 탐색이란?: #한국문학ㆍ동아시아문학ㆍ#세계문학, 고전문학ㆍ현대문학 모두에서 문학 보편적원리 확인, 미래창조 지침, 누구나 동참가능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3:16)
『문학사탐색』강의현장1-1강 문학사 탐색이란?: 문학연구는 자료 열거 아닌 논리의 발견, 문학사 탐색 이론으로 동서고금의 문학 및 다른 분야 현상 설명해야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7:47)
『문학사탐색』1-3강 정치사ㆍ종교사ㆍ문학사: 공화국ㆍ민주주의는 정치 과오의 면죄부인가? 종교 현우차등은 정치 강약차등보다 커, 성자이야기로 문학근접, 문학의 기능〚조동일문화대학〛
(29:47)
『#문학사탐색』1-3강 정치사ㆍ종교사ㆍ#문학사: 정치권력 강성대국 지향, 패권주의 속성은 강약차등론에 근거, 종교사는 현우의 차등론, 문학이 정치ㆍ종교 폐해 시정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3:28)
『문학사탐색』1-4강 철학사와 문학사: 문학과 철학 관계사, 노자ㆍ플라톤ㆍ용수, 중세 철학과 종교의 제휴, 정철 시조의 뒤집기, 철학을 대신한 문학과 종교의 대립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3:33)
『문학사탐색』1-2강 사관에 관한 논란: 민족사관ㆍ실증주의, 사회경제사 문학사 실패, 한국문학통사는 생극론 문학사, 4권부터 밝혀, 조동일 생극론 형성과정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0:12)
『#문학사탐색』1-4강 철학사와 문학사: 문학과 철학 관계, 철학 위기, 문학의 사명, 생극론 이후 철학, 김소월 산유화와 정지용 향수, 피카소의 우롱과 동심예술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3:43)
『문학사탐색』1-2강 사관에 관한 논란: 문학사서술에도 사관 필요, 민족사관 理一ㆍ실증주의사관 分殊, 변증법 氣一分殊의 문제, 사회경제사 실패, 상생 상극 생극론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4:13)
자연과 에로티시즘의 미학 '별안간 옥분의 몸이..향기가 눈앞에 흘러왔다' [들 - 이효석] 책읽어주는 여자 | 오디오북 | korean audiobook
(46:3)
책 읽고 싶어지게 만들어드립니다 (with 겨울서점 김겨울)
(1:5:50)
떠난 여자를 이해하기까지... 이채형 단편소설 - 느티를 찾아서
(51:59)
(40분) 최초의 과학, 공포 소설을 쓴 19살 소녀? 문학을 통해 생각해 보는 인간의 내면과 존재의 이유 | 사피특강
(39:24)
EBS 특별 기획- 시대와의 대화 - 1부- 국문학자 조동일 교수_#001
(15:49)
[문학상식] 문학작품의 작가는 누구일까요?
(17:18)
‘대세’ 웹소설엔 패턴이 보인다?! 문학평론가랑 교수랑 웹소설 본격 분석 | 🔍 잡덕사전 EP1
(18:54)
『#세계문학』1강 종교에서 문학으로 : 인도 '우파니샤드'와 이규보 '문조물', 종교에 대한 반론은 문학으로, 철학보다 문학이 철학 더 잘해〚조동일문화대학〛
(24:)
EBS 특별 기획- 시대와의 대화 - 1부- 국문학자 조동일 교수_#003
(17:37)
『#이슬람문명』1-2강 #이슬람: 문명 성립, 중세 전환, 이슬람 교리 #쿠란, 원죄와 하나님 아들 부정, 사제자 없고 무함마드 전해, 기독교 비교, 유불문명 역할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2:4)
『#문학사탐색』Ⅱ6-1강 내면의 수난, 사로잡힌 심정 : #시인 불행, 생계와 연결되지 않는 시, #백거이ㆍ이달ㆍ#보들래르, 권력ㆍ신분ㆍ금력의 억압 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7:17)
『#문학사탐색』Ⅱ8-1강 안에서, 시간의 흐름: 문학의 #시간론 철학보다 분명, 서정시의 #시간, 유럽 시인과 아시아 시인의 시간 차이, 시와 소설의 시간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24:46)
『#문학사탐색』Ⅱ6-1강 내면의 수난, 사로잡힌 심정: 시인 불행과 사회, 낭만주의와 #상징주의 차이와 시민과 시인의 관계, #백거이ㆍ이달ㆍ#보들래르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4:55)
『#문학사탐색』Ⅱ제10-1강 #신령이야기, 신령이야기의 특징: 정치학과 종교학 한계 넘어서는 신령ㆍ영웅ㆍ범인서사시의 문학연구, 비평적 감수성과 역사적 통찰력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3:45)
『#문학사탐색』Ⅱ제9-1강 서사시의 내력, 족보 찾기: #유럽중심주의 횡포, 한국 #서사시 변천 일반이론 가능, 현대문학 서사시 이해부재, 『#문학개론』시대착오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7:32)
『#문학사탐색』4-1강 문학 갈래의 구분 〚#조동일문화대학〛 #조동일 #문학갈래 이론, 자료귀납, 이론연역, 세계최초의 갈래이론 창조, 지자불언(知者不言) 노자 계승 학문
(33:9)
『#문학사탐색』5-1강 서정시의 자기 인식〚#조동일문화대학〛시의 #시론, 시의 세 가지 기능, 이론가보다 우위인 시론, 신흠, 베르래느, 사파르, 횔더린, #이상화 비밀통신
(27:11)
『#문학사탐색』Ⅱ제10-1강 #신령이야기, 신령이야기의 특징: 신령ㆍ영웅ㆍ범인 #서사시 전개는 문학사 개요, 종교와 문학 신령이야기, 문학사 변화의 동인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8:23)
『#문학사탐색』Ⅱ8-1강 안에서, 시간의 흐름: 문학의 #시간론, 합리적인 시간론, 자연의 시간, 시간은 생멸, 하루살이가 성자, 조오현 『아득한 성자』 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0:13)
『#문학사탐색』Ⅱ7-1강 아름다움, 화초 사랑: #이황 매화 시ㆍ#릴케 장미 시, 백거이ㆍ워즈워즈 화초시, 시로 본 동서양 #화초문화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3:1econd)
#중세문명권 #중세문학지도 #조동일문화대학 『문학사탐색』3-1강 중심부ㆍ중간부ㆍ주변부문학: 세계문학지도, 동아시아 한문문명권, 산스크리트ㆍ아랍어ㆍ라틴어문명권 중세문학의 특질,
(32: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