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3:12) ?Subscribe5835 2025-02-23T19:00:07+00:00
(※시청자댓글) 욜로 플렉스 해봐야 그때 뿐입니다. 멀리 볼 필요도 없이 월급날 직전에 비어버린 내 통장 잔고 보면 현타 안 올 수 없습니다.
(13:5)
(※시청자댓글) 안 아프고 돈 안 쪼들리고 사람들하고 갈등 없는 게 행복의 조건이면 행복하기 힘든 거 맞네
(13:12)
(※시청자댓글) 월급의 75% 정도는 모으셔야 합니다. 이리 살면 어찌 사냐 하시겠지만 이리 안 모으면 늙어서 박스 모읍니다.
(14:7)
(※시청자댓글)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거나 제대로 일을 하지 않는 애들은 절대로 가까이 하지 마세요. 도움도 안 될 뿐더러 사람 귀찮게 하고 이용해 먹을 생각만 합니다.
(13:3)
(※시청자댓글) 뉴스도 안 보고 길거리 상가들 안 보이나 공실 내 놓은 가게들 많던데... 공무원들이 현실 감각 없구만
(14:17)
(※시청자댓글) 안 그런 여자들도 많아요. 일반화 하지 마세요.
(14:15)
(※시청자댓글) 한 번 오른 물가랑 인건비는 웬만하면 안 내려 갑니다. 그래서 갈수록 살기 힘듭니다. 인건비가 부담스러워서 덜 쓴다는 느낌이 듭니다.
(13:2)
(※시청자댓글) 결혼 안 한 사람들 저주하는 댓글ㅣ결혼 안 한 후회는 평생의 한이 된다. 후회로 끝나는 게 아니다.
(14:43)
(※시청자사연) 44세 결혼한 남성입니다. 직장 생활 때문에 타지 생활 하는데 외로워서 견디기 힘듭니다. 어떡하면 좋을까요?
(32:33)
(※시청자댓글) 늙어서 추해지지 않으려면 젊을 때 일해서 돈을 모아 놔야 합니다.
(14:46)
(※공감주의) 사람들이 점점 괴물이 되어 간다. 사람이 사람 다운 생각을 하지 않는다.
(16:22)
(※공감주의) 남자의 미혼보다 여자의 미혼이 치명적인 이유
(20:51)
(※시청자댓글) 통장에 1억은 커녕, 1,000만원도 없는 사람이 태반입니다. 한 마디로 돈 없는 사람들이 1억 소리를 함부로 합니다.
(12:47)
(※시청자댓글) 설거지론 도축론 마통론 이전의 세상으론 다시는 돌아갈 수 없습니다. 이제 각자도생입니다. 호구들 다 도망가고 없습니다.
(14:25)
(※공감주의) 가난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이 순수하지 않은 이유
(15:12)
집터가 쎌때 나타나는 징조들!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당장 이사가세요! / 부천용한점집
(8:8)
(※시청자댓글) 요즘엔 철거 전문 회사가 호황이랍니다. 아무래도 폐업하는 가게들이 요즘에 늘다 보니...
(13:47)
(※시청자사연) 노동강도 하 연봉5000만원 우유 공장 생산직 다니는데 전문대 입학해서 대기업 생산직 가고 싶어요. 근데 출결이 너무 안 좋습니다.
(27:7)
브롤스타즈 시청자참여
(1:36:)
(※시청자댓글) 대한민국 상황 안 좋아요. 경제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정상은 아닌 듯..
(12:50)
(※시청자댓글, 어이없음주의) 여자가 결혼 안 해 주면 남자들도 결혼 못해서 위기 의식 느끼겠죠. 5년 뒤 봅시다. 누가 손해인지
(13:32)
(※시청자댓글) 누군 대출 받아서 사업 못해서 안 하는 건 아닙니다. 험하니까 안 하는 거지. 잘 되면 자기 돈 못되면 나랏돈으로 메꾼다는 게
(14:8)
(※시청자댓글) 결혼을 안 했을 시 누가 더 후회할지는 차분하게 따져보면 압니다. 집안일 같은 건 요새 기계가 상당 부분 편리하게 해주고 조금 귀찮으면 끝입니다.
(14:37)
(※시청자댓글) 우리나라 여자들은 절대 눈을 안 낮춥니다. 본인 수준과 비슷한 남자는 관심도 없거나 심하면 깔 보는 보는 마인드가 깔려 있습니다.
(18:48)
(※시청자댓글) 남들은 다 하는데 혼자 안 하고 있으면 호구, 바보 취급하고 몰아가는 분위기에 굴복하지 않고 묵묵히 자기 삶을 영위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.
(15:59)
(※시청자댓글) 대한민국도 이제는 잃어버린 30년 초입입니다. 일본이 겪어왔던 것처럼 우리나라는 더 심하게 경기 침체를 겪게 되지 않을까 걱정 됩니다.
(13:48)
(※시청자댓글) 인생 살면서 좋은 사람 만나는 것보다 나쁜 사람 안 만나는 게 더 중요 한 거 같네요.
(14:1econd)
(※시청자댓글) 빌려 주고 안 빌려 주고는 100% 빌려 주는 사람 맘이죠. 그걸 빌려 달라는 사람이 왈가왈부 할 일인가. 그저 지 생각만 하는 거죠.
(13:19)
(※시청자댓글) 힘들게 일하고 돈 벌 수 있을 때 많이 모아 놔야지. 힘들게 일하고 돈 못 모으는 사람들은 50 넘어서 힘들어요. 제 생각엔 돈 모으는 것도 타고 나야 합니다.
(※시청자댓글) 선을 넘냐 안 넘냐 문제보다 중요한 건 선을 넘었을 경우 인정하고 책임지느냐 중요하다.
(13: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