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24:34) ?Subscribe5835 2025-02-08T13:12:55+00:00
『#문학사탐색』Ⅱ6-1강 내면의 수난, 사로잡힌 심정: 시인 불행과 사회, 낭만주의와 #상징주의 차이와 시민과 시인의 관계, #백거이ㆍ이달ㆍ#보들래르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4:55)
『#문학사탐색』Ⅱ6-1강 내면의 수난, 사로잡힌 심정 : #시인 불행, 생계와 연결되지 않는 시, #백거이ㆍ이달ㆍ#보들래르, 권력ㆍ신분ㆍ금력의 억압 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7:17)
『#문학사탐색』Ⅱ6-3강 외면의 수난, 이산의 처지: 한국전쟁 비극 이산시의 세계문학사적 의의, 조선조 사민, 근대 #이산 체험, 난민시와 이산문학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24:34)
『#문학사탐색』Ⅱ6-3강 외면의 수난, 이산의 처지: 한국전쟁 이산가족 시는 세계문학사적 의의, 전쟁 이산의 비극 두보ㆍ전봉건, #난민 절규는 문학의 진실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8:39)
『#문학사탐색』Ⅱ6-4강 외면의 수난, 방랑 시인: 독일 괴테와 『겨울 나그네』의 가상 방랑, 김시습의 방랑과 기행시ㆍ#김삿갓 #방랑시 전승과 민중 참여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1:38)
『#문학사탐색』Ⅱ6-2강 내면의 수난, 초라한 자화상 : 시인의 #자화상 시, 백거이ㆍ릴케ㆍ이장희ㆍ베르래느, 윤동주와 세네갈 시인 센고르의 고독과 민족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8:17)
『#문학사탐색』Ⅱ6-2강 내면의 수난, 초라한 자화상 : 윤동주와 세네갈 시인 셍고르의 #자화상 비교, 자화상과 시대의 변화, 시인과 사회의 분열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24:)
『#문학사탐색』Ⅱ6-4강 외면의 수난, 방랑 시인: 독일 『겨울 나그네』와 한국 김삿갓의 방랑, 예외적 인간에서 민중의 대변자로, 체언 아닌 용언의 철학을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7:36)
[𝗽𝗹𝗮𝘆𝗹𝗶𝘀𝘁] \
(43:3)
Not too high, not overflowing. You are the sea, after all. [chill ambient music]
(32:40)
(57:5)
문학저널창작문학상 수상작[신풍구금] 인정이 가랑잎처럼 메말라 가는 오늘.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다른 사람의 처지를 되돌아보고 진정한 보시의 의미가 무엇인가 성찰케 하는 소설 김영한
(1:7:26)
🏆올해 절대 놓쳐선 안되는 MKTV pick 베스트셀러 책 추천 정주행 - 김미경의 북토크
(1:58:47)
잘때듣는 고전문학 | 비곗덩어리 | 기 드 모파상 비계덩어리 | 오디오북 | ASMR | 책읽어주는여자
(2:15:20)
The genius is already dead. [ambient music]
(21:10)
시베리아 수용소로 끌려간 식민지 조선인들의 이야기 [꺼래이 - 백신애] 책읽어주는 여자 | 오디오북 | korean audiobook
(52:6)
민정쌤의 씹어먹는 5분문학📚|소나기
(10:45)
『#학문 왜 어떻게?』1-7강 아는 것과 모르는 것 : #교수와 학자 #서울대 점수따기 도사는 학자 어려워, 외국학설 숭배 국내박사 폄하 #수입학 대리점은 폐업해야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4:38)
#중세문명권 #중세문학지도 #조동일문화대학 『문학사탐색』3-1강 중심부ㆍ중간부ㆍ주변부문학: 세계문학지도, 동아시아 한문문명권, 산스크리트ㆍ아랍어ㆍ라틴어문명권 중세문학의 특질,
(32:37)
『문학사탐색』1-4강 철학사와 문학사: 문학과 철학 관계사, 노자ㆍ플라톤ㆍ용수, 중세 철학과 종교의 제휴, 정철 시조의 뒤집기, 철학을 대신한 문학과 종교의 대립〚조동일문화대학〛
(13:33)
『#문학사탐색』Ⅱ 제9-1강 서사시의 내력, 족보 찾기: #유럽중심주의 문학관은 허언, 세계 #서사시로 논파, 현대문학연구자들 일본을 통한 질병 수입 신봉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11:46)
『#문학사탐색』Ⅲ제13-3강 소설의 부침, 동아시아소설과 유럽소설: 불문학ㆍ한국문학이 문명권 대표, 근대소설이란? 목판인쇄의 경쟁력, 언어 표준화와 소설〚#조동일문화대학〛
(37:42)
『문학사탐색』강의현장1-1강 문학사 탐색이란?: 문학연구는 자료 열거 아닌 논리의 발견, 문학사 탐색 이론으로 동서고금의 문학 및 다른 분야 현상 설명해야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7:47)
『문학사탐색』1-2강 사관에 관한 논란: 민족사관ㆍ실증주의, 사회경제사 문학사 실패, 한국문학통사는 생극론 문학사, 4권부터 밝혀, 조동일 생극론 형성과정〚조동일문화대학〛
(30:12)
『문학사탐색』1-3강 정치사ㆍ종교사ㆍ문학사: 공화국ㆍ민주주의는 정치 과오의 면죄부인가? 종교 현우차등은 정치 강약차등보다 커, 성자이야기로 문학근접, 문학의 기능〚조동일문화대학〛
(29: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