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3:5) ?Subscribe5835 2025-02-10T13:55:37+00:00
(※시청자댓글) 통장 잔고 보면 그 돈을 쓰지 않더라도 삶이 여유로운 느낌도 들고 때로는 자신감도 생깁니다. 마음가짐 자체가 달라집니다.
(13:5)
(※시청자댓글) 통장 잔고는 자존감, 자존심 증명하는 거 진짜 인정 하다못해 통장 잔고에 천만원 정도만 있어도 좋습니다. 요즘 세상은 빚만 안 져도 승리자입니다.
(12:30)
(※시청자댓글) 1억을 통장에 찍어 봤다는 건 돈의 가치를 떠나서 근면 성실하게 살아 왔다는 걸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
(15:16)
(※시청자댓글) 1억이 돈이냐 하는 사람들 통장에 500만원도 없더라!
(11:37)
(※시청자댓글) 잘산다는 호주도 일반 국민 70%가 통장에 100만원도 없다는 은행담당자 말에 충격이었습니다.
(13:2)
(※시청자댓글) 통장에 숫자 9짜리 찍히기 전까지는 아무 것도 하지 말고 저축만 하길... 다시 가난으로 가고 싶어도 못 갑니다 축적의 힘을 이기는 것은 없습니다.
(13:6)
(※시청자댓글) 서민들 중에서 1억 우습게 보는 사람들 많은데 100만원도 없는 사람들 천지입니다. 부자인 척하고 돈 없는 사람들 진짜 많습니다.
(12:44)
(※시청자댓글) 직장인으로 따지자면 근로 소득 만으로 1억 모으기는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
(14:13)
(※시청자댓글) 돈 모을라면 진짜 몇 년 진짜 안 쓰고 모아야 되는데 진짜 모으다 보면 현타 와요. 젊은 아까운 시절 다 날린 것 같고...
(16:9)
(※시청자댓글) 정년 퇴직 하신 분들 중에 연금 받고 놀고 먹고 하시는 분들 한 명도 못 보았습니다. 물가 상승 분 따지면 연금으로 못 살아요.
(13:20)
(※시청자댓글) 돈을 모으려면 불편함을 감수 해야 합니다
(16:38)
(※시청자댓글) 사람들의 일반적인 인식의 중산층은 상위 20%대 정도를 중산층으로 생각해서 실제 통계 Data보다 차이가 더 큰 듯 합니다.
(15:47)
(※시청자질문) 서민이 빚 1억 정도만 있어도 벗어나기 힘든 이유
(17:7)
(※시청자댓글) 늙어서 추해지지 않으려면 젊을 때 일해서 돈을 모아 놔야 합니다.
(14:46)
(※시청자댓글)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돈 없으면 인간 대우 안 해 줍니다
(13:48)
(※시청자댓글) 젊어서 돈 없어도 건강이 있어 괜찮습니다. 늙어 돈 없으면 정말 비참합니다.
(15:9)
(※시청자댓글) 집 해오는 남자 그런 남자가 통장에 2억도 없고 돈도 못 벌고 부모 노후가 완벽하지도 않은 여자를 왜 선택합니까?
(14:)
(※시청자댓글) 물질보다 통장 잔고 올리시길 바랍니다.
(13:46)
(※시청자댓글) 저도 경험해본 부분입니다. 20대 시절 통장 잔고가 바닥을 기던 그 시절에 먹는 거에 집착하게 되더라고요.
(12:27)
(※시청자댓글) 통장에 든 잔고만큼 내가 자신감이 생기더라구요. 돈 없는데 어떻게 행복하게 살 수 있나요?
(12:47)
(※시청자댓글) 설마 진짜요? 직장 장기 근속 8년 이상 하면 10명 중 6명은 천만원 통장에 있지 않나요.
(※시청자댓글) 2022년 통계기준 우리나라 인구 40%가 통장에 100만원 미만입니다.
(17:12)
(※시청자댓글) 돈 쓰는 것보다 통장에 잔고 쌓이는 맛이 더 맛있는데... 안타깝네요.
(14:41)
(※시청자댓글) 통장 잔고 없으면 인간 대우 못 받는 건 인정합니다.
(13:29)
(※시청자댓글) 통장에 천만원이요? 빚이나 없으면 다행입니다.
(14:27)
(※시청자댓글) 가계부 쓰지는 않지만 통장을 여러 개 만들어서 돈을 관리하고 있습니다.
(12:54)
(※시청자댓글) 티끌 모아 티끌이라 말하는 사람 중에 통장에 천만원도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
(13:50)
(※시청자댓글) 격하게 공감합니다! 일단 돈 현금이 통장 잔고에 있으면 일단 선택의 폭이 넓어집니다. 마음의 여유도 생기고...
(14:24)
(※시청자댓글) 자수성가해서 통장에 잔고가 많으면 값 비싼 것들 언제든 살 수 있으니 크게 의식을 하지 않습니다
(14: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