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3:59) ?Subscribe5835 2025-02-24T14:10:19+00:00
무문관 제37칙 [정전백수] 뜰 앞의 측백나무 - 무문혜개 - 박근삼 교무 - 20230507
(13:59)
강신주의 무문관 - 37칙 정전백수(庭前柏樹) : 달마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?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9회]
(39:15)
강신주의 무문관 - 36칙 노봉달도(路逢達道) :깨달은 자는 흔들리지 않는다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7회]
(41:57)
무문관 제37칙 정전백수(1)
(15:)
무문관 제37칙 정전백수(127)ㅡ뜰앞의 잣나무
(6:52)
[무문관 37칙] 정전백수庭前栢樹
(34:36)
2017년 10월 11일 무문관 강독 38(제37칙 정전백수)
(2:2:15)
강신주의 무문관 - 12칙 암환주인(巖喚主人) : 인생의 주인공은 신인가? 인간인가?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회]
(44:29)
금강경 7독 / 우학스님 독송 (한글자막)
(3:26:46)
[육조37] 나눠줄 진리는 없어! 얽매임을 풀어줄 뿐, 자성을 떠난 적이 없다
(1:44:40)
당신은 진짜 꿈이 있는가? | 강신주 풀버전
(31:13)
[거리의 철학자 강신주 강연] 오는 인연을 만끽하고 가는 인연에 집착 말아라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2회]
(38:56)
벽암록 1칙부터 3칙까지 현기스님께 묻고 답을 듣는 질의응답 - [현기 대선사 벽암록 전등 대법회 9회]
(33:10)
강신주의 무문관 - 35칙 천녀리혼(倩女離魂) : 두려움은 삶을 피폐하게 한다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1회]
(44:16)
이런 분이야말로 이 시대의 진정한 수행자가 아닐까? '27살에 들어와 이제 67살' 신도에게 빚지지 않고 살 수 있어 좋은 산중살이ㅣ태백산 자락 원인 스님의 진정한 수행ㅣ경북 봉화
(14:54)
철학자 강신주의 생각과 말들, \
(1:7:56)
강신주의 무문관 - 48칙 조주감파 (趙州勘婆) : 작은 일에 동요하지 않는 마음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0회]
(45:3)
강신주의 무문관 - 32칙 외도문불(外道問佛) : 계단이나 사다리 밟지 말고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떼라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43회]
(42:37)
강신주의 무문관 - 6칙 세존염화(世尊拈花) :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14회]
(43:4)
무문관 제37칙 정전백수(2)
(14:49)
강신주의 무문관 - 13칙 덕산탁발(德山托鉢) : 자리 이후에 이타까지 나아가야 참다운 깨달음이다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4회]
(39:35)
강신주의 무문관 - 28칙 구향용담(久響龍潭) : 덕산 스님께서 금강경 주석서를 불태워버린 이유는?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8회]
(43:24)
강신주의 무문관 - 5칙 향엄상수(香嚴上樹) : 제대로 말하려면 침묵해야 한다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2회]
(42:33)
2017년 09월 27일 무문관 강독 37(제36칙 노봉달도)
(1:56:42)
강신주의 무문관 - 24칙 이각어언(離却語言) : 불립문자는 남을 흉내 내지 않은 본래면목의 말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5회]
(39:39)
강신주의 무문관 - 11칙 주감암주(州勘庵主) : 모욕을 받고 누구에게는 무시를 누구에게는 존중을 표현한 까닭은?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21회]
(44:42)
강신주의 무문관 - 44칙 파초주장(芭蕉拄杖) : 있다는 오만과 없다는 절망은 어떻게 넘어서는가?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5회]
(44:28)
강신주의 무문관 - 17칙 국사삼환(國師三喚) :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 존재한 알 모래에서 우주를 보라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44회]
(40:20)
강신주의 무문관 - 26칙 이승권렴(二僧卷簾) : 있는 그대로 세상을 보라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39회]
(41:27)
강신주의 무문관 - 34칙 지불시도(智不是道) : 성불했다 해도 타인에게 휘둘리면 가짜다 [주인공으로 살아가기 40회]
(41: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