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:43) ?Subscribe5835 2025-02-20T12:23:50+00:00
건설분쟁 | 도급인의 부적당한 지시로 건물의 하자가 발생했다면 수급인에게 담보책임 있을까?
(1:46)
건설 분쟁 | 도급인의 귀책사유로 공사가 지체된 경우에도 수급인이 지체상금을 부담할까?
(1:47)
건설분쟁 | 도급인의 저당권 설정이 민법 제666조에 의한 수급인의 저당권설정청구권에 의한 것이라면?!
(1:43)
건설공사 발주자와 도급인의 판단 기준!! (형식상 발주자이나 도급인에 해당하는 경우는?)
(4:31)
건설 분쟁 | 도급인이 수급인으로부터 완성된 건물을 인도받았음에도 검사 통지를 10일 이내에 하지 않았다면?
(1:31)
건설 분쟁 | 당사자의 귀책사유에 따른 지체상금은 어떻게 청구해야 할까?
(1:49)
[건설분쟁]도급인의 손해배상청구권과 수급인의 공사대금채권의 관계-박형준변호사(천안)(건설전문변호사)
(2:38)
건설분쟁 | 수급인의 저당권 설정 청구권의 소멸시효 기간과 그 기산점은?!
(1:50)
계약서 없이 구두계약만 했어도 확실하게 공사대금 받을 수 있는 방법!!
(10:3)
사장의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사건l 노동법·형사법전문변호사 김종귀 변호사
(4:47)
안전보건총괄책임자란? (자격, 직무, 사업의 종류와 규모, 제재사항)
(6:17)
건설업 체불임금 해결(간이대지급금,원청사 하청사 연대책임)
(10:16)
공사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공사를 한 경우, 누구에게 유리할까?-건축분쟁(건설분쟁) 21강
(7:11)
기존 공사 업체의 공사포기각서 없어도 후속 공사 가능하다고???
(4:46)
건설 분쟁 | 수급인이 하도급 대금을 미지급한 경우, 도급인에게 받는다?!
(2:25)
건설분쟁 | 하수급인이 받아야 할 대금 전부를 도급인에게 직접 청구할 수 있을까?
(1:21)
건설분쟁 | 수급인의 공사대금채권이 도급인 채권보다 적은 경우 유치권 행사가 가능할까?
건설 분쟁 | 완공 지연의 원인이 수급인에 있더라도 지체상금을 공제 받을 수 있을까?
(1:42)
건설분쟁 | 도급인이 최저가보다 낮은 하도급대금 결정 시, 이 영상을 꼭 참고하세요!
(1:23)
'건설공사발주자 vs 도급인' 구분 이슈
(7:59)
6. 건설공사발주자, 도급인의 총괄관리 의미에 관하여
(3:30)
도급인의 안전보건조치 5대 의무!! (도급의 정의, 위반 시 제재사항)
(7:36)
임의해제권 | 수급인에게 귀책사유가 없어도 도급인이 자유롭게 도급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이유!
(1:45)
건설분쟁 | 건설 도급계약에서 계약해제의 소급효가 인정될 수 있을까?
(1:35)
12. 건설공사발주자의 산재예방조치와 도급인의 의무 유의에 관하여
(4: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