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2:9) ?Subscribe5835 2025-02-10T08:16:01+00:00
(※시청자댓글) 기쁨을 나누니 질투가 되고 아픔을 나누니 약점이 되더라.
(12:9)
(※시청자댓글) 자식된 도리가 아니고 이 사람아~ 부모로써 자식을 낳아 기르는 기쁨을 너도 한번 느껴 보거라 이거지~
(14:8)
(※시청자댓글) 이런 말이 있습니다. 기쁨을 나누었더니 질투가 되고, 슬픔을 나누었더니 약점이 된다. 이게 인간관계의 진실입니다.
(13:46)
(※시청자댓글)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닙니다. 작고 소소한 일에 기쁨이 있고 행복이 있습니다.
(13:18)
(※시청자댓글) 결론은 '자존감'이라 생각합니다. 스스로를 귀하고 가치있게 여기며 사랑하지 않는데 어떻게 타인으로부터 존중과 존경 그리고 사랑을 받을 수 있을까요.
(15:22)
(※시청자댓글) 돈 쓰는 재미는 쓸 때만 반짝일 뿐 금방 잊어 먹지만 모으는 재미는 그냥 놔둬도 통장만 보면 그 즐거움이 지속 됩니다
(11:48)
(※시청자댓글) 트렌드나 유행을 따라가는 것도 애초에 자기만의 확고한 취향이나 기준이 있으면 결코 쉽게 안 따라가죠.
(15:11)
레전드!! 매불쇼 최욱 입담 대방출 5탄!! (최욱때문에 삽니다~ 같이 웃어요 ㅋㅋ) #매불쇼
(8:47)
(※시청자댓글) 어차피 인간관계 넓혀봐야 한순간 입니다.
(15:45)
(※공감주의) 지금 사태 파악 안되는 사람들... 우리나라 경제 상황 겁 안나요?
(19:50)
(※시청자댓글) 서울에서는 순자산 10억이어도 서민이긴 해요...
(15:19)
(※시청자댓글) 소개팅 자리 나온 30대 중반 이상 여자들 결혼하면 뭐하고 싶냐 하니까 그냥 집에 있고 싶다 하네요. 어떻게 된 게 맞벌이 하자는 여자가 없네요.
(27:40)
(※시청자댓글) 없으면 없는 대로 아끼고, 소식 하며 줄이면서 사는 게 순리 같습니다.
(15:13)
(※시청자댓글) 요즘 젊은 사람들 저축의 미덕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. 그딴 푼 돈 모아봤자라는 식
(15:24)
(※공감주의) 가난한 사람이 가난을 탈출하려면... 가장 현실적인 방법
(16:34)
(※시청자댓글) 40대가 되고 나니 알겠더군요. 제일 잘한 게 있다면 가정을 이루지 않았다는 겁니다.
(20:35)
(※시청자댓글)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돈 없으면 인간 대우 안 해 줍니다
(13:48)
(※시청자댓글) 힘든 것을 남에게 보이지 마라, 어느 순간 약하고 쉬운 사람이 되어 있다. 기쁜 일을 남에게 말하지 마라, 시기 질투가 되어 돌아 온다.
(12:25)
(※시청자댓글) 행복은 고통을 동반한다는 말씀 공감 됩니다. 저는 작년에 다이어트를 해서 지금까지 20kg 감량했는데 다이어트를 하는 과정은 힘들지만 그 기쁨도 컸습니다.
(15:32)
(※시청자댓글) 인생은 원래 고난의 연속인 거. 인생이 왜 무조건 행복하고 편하고 즐거워야 한다고 생각하지? 과거로부터 서민들이 살기 좋았던 적은 단 한순간도 없었는데...
(12:12)
(※시청자댓글) 탕후루도 결국엔 1년을 넘기지 못하는군요. 유행이라는 게 다 그렇죠.
(15:57)
(※시청자댓글) 요즘 20대 친구들 관심이라는 1차원 쾌락에 중독 되는 거 같습니다
(17:38)
(※시청자댓글) 경제적으로 풍요로우면 남에게 보이는 시선에 별로 신경이 안 쓰입니다. 왜냐하면 얼마든지 살 수 있는 조건이 되고 자신감이 있으니까요.
(16:17)
(※시청자댓글) 젊은 사람들이 멘탈이 약해지는건 세상이 편리해졌으니 당연한 결과입니다
(15:16)
(※시청자댓글) 한국 사람들은 너무 체면과 외형을 따지는 거 같습니다.
(14:45)
(※시청자댓글) 돈 쓰는 것보다 통장에 잔고 쌓이는 맛이 더 맛있는데... 안타깝네요.
(14:41)
(※시청자댓글) 남들보다 월급이 좀 적더라고 매달 꼬박 꼬박 월급이 들어오는게, 적은 월급이지만 큰 기쁨이 됩니다.
(※시청자댓글) 누가 SNS를 하든 없는 돈에 사치를 부리던 신경 쓸 필요 없어요. 그 사람은 그 사람, 나는 나잖아요.
(15:23)
(※시청자댓글) 남들 하는 거 생각 없이 따라가면 그냥 노예처럼 살게 됩니다.
(14: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