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1:5:18) ?Subscribe5835 2025-02-25T19:32:31+00:00
촛불추천 708, [줌 질의응답] #2, 수용과 자기노출 -- 질문 1, 지적, 간섭, 충고하지 않는 것, 이유와 효과 -- 질문 2. 가족도 힘들다. -- 2024. 11. 23
(1:5:18)
촛불추천 580, [줌수업, 1기] 5강 #2, 발병 이후의 변화과정 (2) -- 다시 일어서는 과정과 자기노출 -- 2023. 10. 7. (토) 강의
(55:53)
촛불추천 509, [초급 7기] #07, 증상의 겉과 속 -- 조현병, 조울증의 표면적 문제와 진짜 문제 -- 전문가 관점과 당사자 관점, 병식이 없는 이유, 당사자 연구의 방법
(1:7:29)
촛불추천 533, [초급 8기] #05, 조현병, 조울증 치료의 필수요소 10가지 -- 약물치료만으로는 부족하다. 치료에 필요한 필수적인 치료요소들이 반드시 제공되어야만 한다.
(30:34)
촛불추천 582, [줌수업, 1기] 6강 #2, 낫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? -- 조현병, 조울증 치료방법 -- 치료의 필수요소, 촉진요소 10가지 -- 2023. 10. 14.
(42:59)
촛불추천 709, [줌 질의응답] #3 -- 치료, 재활, 리커버리(회복, 재기) -- 그 개념과 방법에 대한 질문과 답변 -- 2024. 11. 30. (토) 촛불 배정규 답변
(38:54)
촛불추천 471, [초급 6기] #19, 조현병, 조울증 치료방법 (4) -- 관찰과 기록, 자기공개 -- 치료에 도움이 되는 쉽고 간단한 실천방법 -- 초급과정 6기 4강 #04
(10:57)
촛불추천 510, [초급 7기] #08, 조현병, 조울증의 발병원인 -- 뇌가 왜 탈이 나는가? -- 학술적인 설명(취약성-스트레스-대처능력 모형)과 배정규의 생각(선순환-악순환)
(29:17)
촛불추천 524, [초급 7기] #22, 조현병, 조울증 당사자(환자)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자기돌봄, 자기치료의 방법 (1) -- 병에 대하여 공부하고, 고립에서 벗어나라.
(58:35)
촛불추천 177 [초급 1기] #09 조울증 (양극성장애) 2019. 6. 29. 초급과정 1기 제 8강 -- (1)
(1:52:40)
촛불추천 714, [공개상담] # 36, 남편의 조울증 -- 22년간 조울병과의 사투, 40대 아내 -- 하루 1~2시간이라도 일하는 게 도움이 될 듯한데 -- 2025. 2. 5
(1:20:35)
촛불추천 579, [줌수업, 1기] 5강 #1, 발병이후의 변화과정 (1) -- 무너지는 과정과 침습적 반추 -- 2023. 10. 7. (토) 강의
(41:48)
촛불추천 500, [초급 6기] #32, 조현병, 조울증 치료에서의 가족의 핵심 역할은 수용과 지원이다 -- 수용 (1) -- 왜, 무엇을 수용해야 하는가? -- 6기 8강 #01
(1:7:5)
촛불추천 561, [초급 8기] #19, 선순환적 생활습관 (1) -- 1단계 결심하기, 2단계 수면습관 -- 조현병-조울증 교육, 초급과정, 8기, 8강 #01
(1:3:45)
촛불추천 529, [초급 8기] #01, 무엇이 문제인가? (1) -- 조현병, 조울증의 증상 -- 주요증상보다 부수증상이, 부수증상보다 증상이 아닌 문제들이 더 힘들 수 있다.
(54:24)
촛불추천 551, [초급 8기] #17, 수용과 지원 (1) -- 당사자가 있는 곳에서 시작하라. -- 망상과 분노를 수용하는 방법 -- 정답이 없다. 마음을 비운다는 말의 의미
(1:6:43)
촛불추천 587, [줌수업, 1기] 8강 #1, 약물치료 (3) -- 약을 먹지 않으려는 이유와 도움이 되는 대처법 -- 약물거부(약물 비순응, 약물 비준수) 문제
(42:42)
촛불추천 593, [줌수업, 1기] 10강 #2, 위기관리 -- 조현병, 조울증의 재발경고신호(발병조짐 또는 재발조짐) 탐지방법 및 재발방지를 위한 조기개입 방법
(57:1econd)
촛불추천 290, [1, 2, 3부의 합본] 중반기의 늪 (특히 조현병-조울증-우울증 환자의 \
(2:21: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