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22:14) ?Subscribe5835 2025-02-14T00:31:35+00:00
54중경서독법 한토하론-2(고의지법1)한토하 병행은 중경이전 부터 전수 되어온 고법이다.
(22:14)
55중경서독법 한토하론-2(고의지법2) 한토하법에서 시작하여 화해법으로 확대 되었다.
(19:58)
53중경서독법 한토하론-1(범자지해) 범자에는 중경전후의 의안이 담겨있다.
(22:20)
57중경서독법 한토하론-4(팔강지변) 한토하 병행이후 괴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팔강변증안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.
(23:56)
56중경서독법 한토하론-3(질사지론) 급박한 상황에 빨리 사하한 고법이 의외의 효과가 있다
(25:8)
동씨침법특강 26강 특강-손에서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다, 침술편
(1:15:11)
'경제 대국' 독일이 무너진 이유 5가지 : 한국에 전하는 교훈
(26:34)
방제학이란? 한약 구성의 기초, 이걸 알아야 처방을 할수 있습니다
(43:55)
듣는 장부변증 - 비(2), 변증논치
(17:18)
[초보자를위한오행강의] 무토 병화의 화생토와 춘절의 무토
(9:24)
동씨침법특강 1강 동씨침법은 대응침법이다
(6:34)
한의사를 위한 한의학 강의 ] 불면증에 대한 한의학적 기전. 멜라토닌, 세로토닌. 서양의학비판. 위기의 작용과 수면, 경락, 음양, 영기, 위기, 온담탕의 방의.
(2:34:50)
66중경서독법 복압론-1(흉복지압2) 한토하 처방은 인체의 압력 관계를 조절하는 약이다.
(29:12)
34중경서독법 증상론-1(망양지착1) 망양은 증상이 아니다,
(26:38)
58중경서독법 표리론-1(표리지래) 병위의 개념은 한토하법과 관련이 있다.
(26:25)
50중경서독법 기혈수론-2(상충지기2) 각 조직 간에 불균형이 발생하면 진동이 발생한다,
(26:14)
59중경서독법 표리론-2(호근지용) 표리는 하나의 공간에서 지표에 불과하다!
(21:32)
52중경서독법 기혈수론-3(수병지론2) 치수의 처방은 치료의 70%를 차지한다.
(29:14)
60중경서독법 표리론-3(병원지증) 증상은 상황에 따라 병위,병성.병독.병정의 개념으로 이해되지만 결국 병원의 단서이다!
(22:21)
65중경서독법 복압론(흉복지압-1) 상호간의 압력 불균형에 의해 인체는 진동한다.
(29:36)
63중경서독법 감응론-2(백병지응) 풍한은 모든 병증의 시작이며 종결이다!
(25:48)
17중경서독법 문자론-1(허사지란4) 옛 지식인은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추구했다.
(38:13)
61중경서독법 감응온-1(감응지리1) 현상은 감과 응 일 뿐이다.
(22:58)
10중경서독법 자서변-2(황노지풍4) 실증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이해된다.
(26:9)
32중경서독법 증후론-3(흉복지증1) 복진의 중요성을 인식하자!
(17:35)
31중경서독법 증후론-2(수증지치) 나타난 증상을 보고 그 병원을 헤아려서 치료하라!
(26: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