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46:59) ?Subscribe5835 2025-02-15T22:25:53+00:00
벤야민-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: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-강사: 문병호(철학자), 남승석(영화감독)
(31:4)
『벤야민-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』 출간 기념 문병호·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- 강연 (1/2)
(1:2:31)
[현대철학 필수지식!] 대중문화는 어떻게 나를 바보로 만드는가? (\
(23:52)
꿈꾸는 우울: W. 벤야민을 이해하기 위하여 -김진영(인문학자)
(18:6)
아도르노 역사철학 b
(20:54)
『벤야민-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』 출간 기념 문병호·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- 질의응답 (2/2)
(46:59)
책추천 ㅡ 벤야민\u0026아도르노 \
(32:55)
아도르노 \
(12:1econd)
[푸코 입문] 이 사람을 모르고선 현대적인 생각을 이해하기 힘들다
(11:53)
〔월말 김어준〕 계몽의 시대와 은폐된 폭력, 그럼에도 별일 없이 산다. #철학 #박구용 #풀버전
(49:14)
〔월말 김어준〕 프랑크푸르트 학파 벤야민, 그 독해 실패기. #철학 #박구용
(22:40)
[존 듀이 - 경험으로서의 예술] 현대예술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?
(11:26)
아우라가 사라지는 이유 (ft. 발터 벤야민)
(24:50)
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한 노래 ‘아도르노’의 생에 관하여!
(8:13)
침몰하는 문과...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? (발터 벤야민 - 역사 개념에 관하여)
(13:19)
부정 변증법 - 테오도어 아도르노 1
(1:18:58)
[대안연구공동체 | 공개강의] 아도르노 '미학이론' 강독 1강 | 문병호 교수
(1:47:23)
아우라 - 발터 벤야민 1
(39:34)
EBSi 논구술 읽기의 왕 - Essay_28강 예술과 철학: 아도르노/벤야민_#006
(7:55)
대중문화와 벤야민
(43:16)
[현대철학로드맵]독일현대사상1편-아도르노,벤야민,에리히프롬
(34:4)
야콥 타우베스의 바울의 정치신학5:벤야민과 아도르노
(11:58)
아도르노의 역사철학 a
(22:27)
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와 아도르노-김진영(철학아카데미 대표)
(2:32)
아우라(Aura)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 - 기술복제시대의 미디어 미학(feat. 삼성 이건희 컬렉션)
(22:16)
[역자특강] 『아도르노, 사유의 모티브들 』
(1:20:36)
피아니스트를 꿈꾸던 아도르노의 유년기 - 김진영(철학아카데미 대표)
(3:42)
11월 4일 김진영 - '문명과 야만 그리고 예술 - 아도르노와 베케트를 중심으로' 제1강
(1:23:21)
11월 18일- '문명과 야만 그리고 예술 - 아도르노와 베케트를 중심으로' 제3강
(2:29: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