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ration: (35:34) ?Subscribe5835 2025-02-21T12:55:35+00:00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0] 인도철학과 힌두교 5-인도 시간관의 기원과 성격 우주는 어떻게 해체되고 재생하는가? 그 반복과 순환의 세계
(35:24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3] 중국철학사상사 41- 도가(道家)의 '자연'(自然)가치-노장(老庄)과 공맹(孔孟)의 인간이해: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?
(28:6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14] 중국철학 사상사2- : 주나라의 천명사상과 종교신학(종법 도덕이론의 형성) -덕으로써 다스리는 나라-
(42:31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16] 중국철학 사상사 4 : 중국철학의 기초 1 - 역경(易經)이란 무엇인가?
(47:21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79] 인도철학과 힌두교 24-우파니샤드 18: 순수의식, 브라만의 존재 방식 \
(35:8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4] 중국철학사상사 42- 장자(莊子)가 바라본 인간의 가치와 문명비판- 도(자연)와 하나되는 개체적 인간의 완성
(33:17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4] 인도철학과 힌두교 9-우파니샤드 3: 힌두교의 다양한 세계관: 인간의 자아는 우주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?
(36:34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2] 인도철학과 힌두교 7-우파니샤드 1: 인간의 자아에 대한 근원적 탐구- 신화와 제사에서 참된 자아, 아트만의 탐구가 시작되다.
(33:55)
불교와 힌두교의 차이ㅣ일묵스님ㅣ2019. 9. 18. 초기불교 제따와나선원 정기법회
(1:14:56)
[무삭제+]👉 인생은 필히 가까이에 근심 걱정이 있다. 동양 철학 공자가 말하는 인생 이야기 [50에 읽는 논어] @방송대지식 최종엽 | 논어 | 인문 | 책 |
(58:53)
[홍익학당] 불교와 우파니샤드_A352
(53:4)
[인문고전에서 얻는 삶의 지혜] 천년의 내공 동양고전 논어 맹자 사기 장자 책읽어주는여자 오디오북 podcasts
(44:33)
무엇을알아야 모든것을 알 수 있습니까?/ 이세상에서 가장 숭고한책/ 베다 전통/ 인도 고전 우파니샤드/
(25:48)
출판사별 이미지와 선호도 📚문학동네,민음사,창비...
(28:40)
베다(Veda)와 우파니샤드(Upanishad)
(45:39)
불교와 힌두교 깨달음 비교, 마하리쉬와 싯다르타의 깨달음
(9:4)
Completely resolve all the evil spirits_Speech_ President Gi-seong Lee
(18:21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29] 중국철학사상사 17- 춘추전국 말기 사상: 유가 철학의 집대성- '주역'의 철학적 해석: '역전(易傳)'의 사상과 내용
(52:34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2] 중국철학사상사 40- 순자의 이상적 인간 가치와 공자, 맹자의 의리(義利)- 인간이 동물과 구별 되는 까닭
(27: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5] 중국철학사상사 43- 인간의 본질과 인성(人性): 공자는 성(性)에 대해 무엇이라 하는가? 선진(先秦)시기의 인성학
(32:28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5] 인도철학과 힌두교 10-우파니샤드 4: 인간의 일생 자체가 제의다- 희생제사에서 내면의 제사로! (지혜로 신에게 이르는 길)
(34:57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8] 인도철학과 힌두교 3- 창조자 브라흐마 신에 대하여
(36:36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9] 인도철학과 힌두교 4- 우주적 인간 푸류사 정신과 물질의 원리는 어떻게 시작 되었는가?
(37:30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1] 인도철학과 힌두교 6-우주의 생성과 해체: 4주기 힌두 신화의 영원과 시간
(32:50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6] 인도철학과 힌두교 1- 시바 신에 대하여 PD: 정지훈
(35:33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57] 인도철학과 힌두교 2- 비슈누 신에 대하여-아바타(avatar/화신,化身)의 기원
(37:5)
[이명권의 동양철학 강의 67] 인도철학과 힌두교 12-우파니샤드 6: 무엇이 브라만인가? 브라만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지속적 대화
(35:47)